github 블로그의 장단점
Updated:
tistory, velog 등 개발 블로그로 사용되는 플랫폼이 여러 종류 있었는데
그 중 github 블로그를 사용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github 블로그 장점
- markdown 파일 포맷을 사용하므로, 글 작성이 매우 편리하다.
- github에 markdown 파일을 업로드하면 알아서 html 파일로 변환해준다.
- 마침 git readme를 멋드러지게 표현하고 싶었는데, 블로그 글을 작성하다보면서 좋은 연습이 될 것 같았다.
- 이쁜 블로그 테마들이 많다.
- 도메인에 github이 들어가다보니 개발자스러움이 느껴지고 멋있다.
2. github 블로그 단점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는 것 같다.
다른 블로그를 써보질 않아서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분명한건 검색 엔진에 대한 차별인 것 같다.
국내에서 제일 많은 방문자 유입 경로는 네이버라고 하는데
네이버 검색 엔진은 자사 사이트 정보에 대한 우대?가 좀 있는 모양이다.
이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가 아니다보니 아무래도 노출 빈도가 좀 낮지 않을까 싶지만
뭐 그래도 상관없다, 블로그를 잘 키워놓으면 되니까
그리고 git이나 리눅스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처음에 적응하기 쉽진 않겠다 정도?
이 외에 단점은 없어보인다.
마지막으로… 조금 벗어난 얘기일 수 있지만, 로컬 초기 세팅에 어려움이 있었다.
로컬 세팅이 꼭 필수는 아니지만 (github에는 이미 지킬이 내장되어 있다)
로컬에 서버를 띄워서 페이지 검증 후, git 업로드하는걸 권장하다보니 세팅하게 되었는데
보편적으로 리눅스 환경에서 루비를 설치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나는 윈도우가 더 친숙했기에 윈도우에서 진행한것이 화근이 됐다.
윈도우 환경에서 루비를 설치하고, 지킬을 설치하는데 인코딩 에러가 발생하여 고전했다.
- Invalid byte sequence in UTF-8 (ArgumentError)
구글링으로 확인해보니, 루비를 최신 버전이 아닌 2.7버전을 사용해봐라… 루비에서 인코딩을 바꿔봐라… 여러 솔루션들이 있었고
여러 시도를 해봤지만 무소용,,, 삽질에 삽질 끝에 결국 윈도우 환경에 우분투 가상머신을 깔아서 진행하게됐다.
혹시나 윈도우 환경에서 지킬을 설치하는 사람은 참고하기 바란다. 꼭 성공하시길…
https://blog.enjoydev.com/2019/install-jekyll-default-theme/
Leave a comment